아주 오래된 이야기지만, 오늘은 군대 시절 이야기를 해보려 합니다. 여러분도 번쯤 들어봤을 9사단, 백마부대, 그리고 유격장 이야기입니다. 저는 1987 말부터 1990 초까지 생활을 했습니다. 27개월 복무했지만, 해가 4 바뀌었기에 “4 군생활이라고 해도 크게 틀리진 않다고 생각합니다. 제가 복무한 곳은 백마부대 유격장. 그중에서도 저는 유일하게 미군을 교육하던 유격 조교였습니다. 한국군이 들어오면 한국군을, 미군이 들어오면 미군을 가르치는 역할이었죠.

 

미군 조교 시절프라이드와 고난의 교차점

 

기수에 60명이 입소하고, 1년에 10번의 훈련이 있었기 때문에, 2 동안 1,200명을 가르친 셈입니다. 물론 중간에 낙오자도 있었지만, 다행히 사망자는 없었습니다. 교육 대상은 미군 사병부터 중령까지 다양했습니다. 한국과 달리 중령도 예외 없이 똑같이 훈련을 받았죠. 미국 군인들에게 백마 유격장에서 훈련받았다는 일종의 자부심이었습니다. 훈련이 워낙 힘들었기에, 자대에 복귀해도 인정받는 분위기였죠. 카투사 병사들도 이곳에서 훈련을 받으면 인정받았습니다.

 

추억이 담긴 사진들

졸업식 사진

졸업식 사진은 일주일 간의 훈련을 마치고 수료증을 받은 찍은 것입니다. 미군들은 카메라 앞에서도 자랑스럽게 있었습니다. 다른 사진은 타워 교장 앞에서 인솔 장교들과 함께 찍은 것으로, 장병들이 가장 무서워했던 코스 하나였죠.

Mock Tower
두줄 교장(Two Rope Course)

특히 교장은 생명줄 하나에 의지해 높은 계곡을 건너야 했기에 모두가 긴장했습니다. 훈련병들은 로프 묶는 법을 배우고, 조교의 시범 하나씩 건너게 되는데, 중간에 멈춰 서서 조교가 직접 구하러 적도 있었습니다.

 

미군과 한국군  차이

 

가장 차이점은 미군들은 상체는 강하지만 하체가 약하다는 점이었습니다. 그래서인지 유격 훈련 원산폭격(영어로 “Stick your head to the ground”)같은 동작에서 힘들어하곤 했죠. 번은 미군이 원산폭격 자세에서 기절한 채로 계속 엎드려 있었던 적이 있었습니다. 가볍게 건드렸더니 그대로 쓰러졌고, 다행히 얼마 있어 정신을 차렸습니다. 기절했는지는 끝내 없었지만요.

 

나를 철인이라 부르던 미군들

 

백마 유격장은 미군들 사이에서 악명이 높았습니다. 교육생은 “Feet together!” 외치며 차렷 자세를 하는데도 계속 떨고 있더군요. 저는 무서운 사람이 아니었는데, 그렇게 떠는 모습을 보니 마음이 아팠습니다. 재미있던 , 미군들이 철인이라 부르던 일이었습니다. 이유는 간단합니다. 저는 시범 조교가 60명을 인솔해 산을 뛰어 따라 올라오게 하고, 먼저 도착해 기다리곤 했는데, 훈련병들이 올라왔을 저는 방울도 흘리고 있었거든요. 하지만 그건 비밀이 있습니다. 먼저 도착해서 땀을 닦고 기다렸던 거죠. 저라고 힘들겠습니까

 

끝으로

 

2년간 미군들을 가르치며, 저는 정말 열심히 일했고 많은 배웠습니다. 미군들은 요령 없이 성실하게 훈련을 받는 프로페셔널함이 있었습니다. 물론 다시 군생활을 하라면 절대 못하겠지만요. 지금도 종종 군대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재미있게 보고 있는 자신을 보며, 한편으로는 웃깁니다. 언젠가 시간이 된다면, 이야기를 바탕으로 책이나 만화를 한번 그려보고 싶네요.

 

백마 유격장, 시절. 힘들었지만 잊지 못할 시간들이었습니다.

 

엑셀은 단순한 표 작업을 넘어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금융 계산을 자동화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XLOOKUPPMT 함수는 직장인이나 학생 모두에게 정말 유용한 기능입니다. 오늘은 이 두 가지 함수를 소개하고, 실무에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엑셀은 단순한 작업을 넘어서, 데이터를 검색하거나 금융 계산을 자동화할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그중에서도 특히 XLOOKUP PMT 함수는 직장인이나 학생 모두에게 정말 유용한 기능입니다. 오늘은 가지 함수를 소개하고, 실무에 어떻게 활용할 있는지 쉽게 설명드릴게요.

 

1. XLOOKUP – 단계 진화한 데이터 검색 함수

 

엑셀을 써보셨다면 VLOOKUP이나 HLOOKUP 같은 함수에 익숙하실 겁니다.

VLOOKUP: 세로 방향( 기준)으로 값을 찾아줍니다.

HLOOKUP: 가로 방향( 기준)으로 값을 찾아줍니다.

 

하지만 함수는 방향 제한이 있고, 테이블 구조가 바뀌면 오류가 생기기 쉬웠어요. 그래서 2019 이후 버전의 엑셀에서는 강력한 XLOOKUP 함수가 도입됐습니다.

 

XLOOKUP 행과 모두 자유롭게 검색할 있고, 사용법도 훨씬 직관적입니다.

 

 XLOOKUP 기본 구조: =XLOOKUP(찾을_, 찾을_범위, 반환할_범위)

 

 

 

예를 들어, F3 있는 값을 A열에서 찾아서, B 또는 C열의 결과값을 가져오고 싶다면 아래와 같이 사용할 있습니다:

=XLOOKUP(F3, $A$3:$A$6, $B$3:$B$6)

 

A3~A6 범위에서 F3 값을 찾아보고, 일치하는 행에서 B열의 값을 반환합니다. 방식은 테이블 구조가 바뀌어도 쉽게 대응할 있어서, 데이터가 자주 바뀌는 실무 환경에 맞습니다.

 

2. PMT – 대출 상환금 계산을 자동으로!

번째 함수는 PMT (Payment) 입니다. 함수는 대출 상환금, 장학금 반환 계획, 할부 계산 등에 유용하게 쓰입니다. 매달 얼마씩 갚아야 할지 자동으로 계산해주는 함수죠.

 

PMT 함수 구조: =PMT(이자율, 납입횟수, 대출금액)

 

여기서 주의할 점은:

이자율은 이율을 12 나눈 이율로 바꿔줘야 합니다.

납입 횟수는 × 12개월로 계산합니다.

대출 금액은 음수로 입력해야, 결과가 양수로 출력됩니다.

 

=PMT(A3/12, B3*12, -C3)

A3: 이율 (: 3.6%)

B3: 기간 (: 10)

C3: 대출 금액 (: $65,000)

 

이렇게 입력하면 매달 상환해야 금액($645.81)을 자동으로 계산해줍니다. 복잡한 금융 계산도 엑셀 하나면 간단하게 끝낼 있는 셈이죠.

 

마무리하면

XLOOKUP PMT 실무에서 매우 자주 쓰이는 함수들입니다. 데이터를 빠르게 조회하고, 금융계산을 자동화하면 업무 효율이 크게 향상되죠. 혹시 궁금하신 엑셀 기능이 있으시면 알려 주세요.

컴퓨터와 외부 모니터를 연결하는 포트는 세월이 지나며 다양하게 진화해 왔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거부터 현재까지 사용된 주요 모니터 포트들을 정리하고, 포트의 특징과 해상도, 사용 용도를 간단히 소개합니다.

 

1. Mini-VGA

Apple, HP, ASUS 일부 제조사에서 사용하던 소형 비디오 포트로, 지금은 거의 사라졌습니다. 가장 낮은 해상도는 1024×768 픽셀이며, 주로 초소형 노트북에서 쓰였습니다.

 

 

2. VGA (Video Graphics Array)

15개의 핀이 3열로 배열된 아날로그 비디오 포트입니다. 초기 해상도는 640×480 픽셀이었으며, 오랫동안 PC에서 표준 포트로 사용되었습니다. 지금은 점차 HDMI 디지털 포트로 대체되고 있습니다.

 

 

3. 1 DVI-D(Digital Visual Interface-Digital)

디지털 영상 신호만 전달합니다.

3. 2 DVI-I(Digital Visual Interface-Integrated)

디지털과 아날로그 신호 모두 지원합니다. 포트들은 VGA보다 높은 화질을 제공하며, 한때 고급 그래픽카드나 모니터에 널리 사용되었습니다.

 

4. Mini-DVI

일반 DVI보다 작고 Apple 구형 맥북과 아이맥에서 사용되던 포트입니다.

 

5. Micro-DVI

보다 작아 1세대 맥북 에어에 사용됐습니다.  현재는 모두 단종되었으며, Mini DisplayPort 대체되었습니다.

  

6. HDMI (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현대 디지털 기기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영상 포트입니다. 영상과 음성을 함께 전달할 있으며, 가장 낮은 해상도도 1920×1200 이상을 지원합니다. TV, 모니터, 콘솔 게임기, 노트북 거의 모든 디지털 기기에서 활용됩니다.

 

7.1 Mini-HDMI

DSLR 카메라, 태블릿 등에 쓰이며 HDMI 기능은 동일하되 크기만 작습니다.

7.2 Micro-HDMI

고프로 같은 초소형 기기에 사용되며, 가장 작은 HDMI 포트입니다.

 

9. Mini DisplayPort, Thunderbolt 1/2

DisplayPort VGA DVI 대체하기 위해 개발되었지만, 일반 사용자보다는 전문가용 모니터에서 많이 사용됩니다.

Mini DisplayPort Apple Microsoft Surface 등에서 널리 사용됐으며, Thunderbolt 1, 2 포트와 동일한 형태를 가집니다.

 

10. USB Type-C & Thunderbolt 3/4

가장 진화된 형태의 포트입니다. USB-C 충전, 데이터 전송, 비디오 오디오 출력까지 하나의 케이블로 가능합니다.

Thunderbolt 3/4 USB-C 같은 형태를 가지지만, 데이터 전송 속도(최대 40Gbps) 훨씬 빠르고, 고해상도 모니터와 외장 SSD 등을 동시에 연결할 있는 기능까지 갖추고 있습니다.

 

마무리하면

포트는 시대와 기기 용도에 따라 다르게 설계되어 왔습니다. 지금은 대부분 USB-C HDMI 표준이 되었지만, 구형 기기를 다룰 해당 포트들의 특징을 알고 있어야 호환성과 성능을 제대로 활용할 있습니다.

 

컴퓨터로 작업을 하다 보면, 단축키 하나로 시간을 아끼고, 실수를 줄이며, 업무 효율을 크게 높일 있습니다. 특히 문서 작업이나 디자인, 데이터 입력 반복적인 작업이 많은 분들에게 단축키는 그야말로 작업의 무기 됩니다.

 

대표적인 기본 단축키 가지를 소개해드릴게요:

Ctrl + C: 복사

Ctrl + X: 잘라내기

Ctrl + V: 붙여넣기

Ctrl + Z: 실행 취소 (되돌리기)

Ctrl + S: 저장

 

다섯 가지는 정말 기본 중의 기본이지만, 기본을 몰라서 낭패를 실화도 있습니다.

 

 

저장하지 않고 4시간 작업한 직원의 이야기

 

예전에 무역 부서에서 실제 있었던 일입니다. 여직원이 4시간 동안 엑셀 작업을 하고 있었어요. 그런데 저장(Ctrl + S) 번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실수로 데이터를 모두 지워버린 것입니다. 당황한 나머지 그녀는 아무 조치도 하지 않고 프로그램을 그냥 닫아버렸습니다.

 

만약 직원이 그때 Ctrl + Z Ctrl + X 의미를 제대로 알고 있었다면 어땠을까요? 적어도 모든 데이터를 날리는 일은 피할 있었을 겁니다. 단축키 하나만 알았더라면 말이죠.

 

어디서든 통하는 단축키

 

이런 단축키들은 단순히 워드, 엑셀, 파워포인트 같은 Microsoft Office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포토샵, 일러스트레이터 Adobe 프로그램에서도 거의 동일하게 작동합니다. 다른 프로그램이라도 기본적인 편집 기능에서는 거의 같은 단축키가 적용되기 때문에, 하나만 익혀도 다양한 작업에 활용할 있습니다.

 

생각보다 많은 사람들이 “Ctrl + C, V” 알아도 “Ctrl + Z” “Ctrl + S” 중요성은 간과하고 있죠. 가지 단축키만 제대로 익혀도 여러분의 작업이 훨씬 안전하고 빠르게 진행될 있습니다.

 

 

 

스크린 캡처도 단축키로 간편하게

 스크린 캡처도 마우스 없이 쉽게 있어요.

 

Mac:

Command + Shift + 3: 전체 화면 캡처

Command + Shift + 4: 원하는 영역만 캡처

 

Windows:

Win + Shift + S: 원하는 영역을 캡처 (Snipping Tool 실행됨)

마우스 클릭도 알고 쓰면 다르다

 

마우스 클릭에도 알면 유용한 기능이 있습니다.

 

왼쪽 클릭: 선택

오른쪽 클릭: 기능 옵션 메뉴 열기

더블 클릭: 단어 전체 선택

트리플 클릭: 문단(Paragraph) 전체 선택

 

작은 클릭 하나가 얼마나 편리한 기능을 불러오는지, 써보면 절대 놓게 됩니다.

 

 

마무리하며

 

단축키는 단순한 지름길 아니라, 작업을 지켜주는 안전장치이기도 합니다. 기본적인 단축키부터 차근차근 익히며 효율적인 컴퓨터 활용 습관을 만들어보세요. 오늘 소개한 단축키만으로도 여러분의 작업 능력이 달라질 겁니다.

 

컴퓨터나 IT 용어는 어렵게 느껴질 있지만, 사실 알고 보면 아주 단순한 원리로 작동합니다. 오늘은 우리가 일상에서 자주 접하지만 몰랐던 컴퓨터 용어들을 쉽게 풀어 설명해보겠습니다.

 

QWERTY 키보드란?

우리가 매일 사용하는 키보드를 보면, 알파벳 윗줄이 Q-W-E-R-T-Y로 시작합니다. 이 배열을 따서 만든 것이 바로 QWERTY 키보드입니다. ‘퀄티키’라고도 부르며, 전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자판 배열입니다.

 

 

메모리(RAM)

메모리는 쉽게 말해 컴퓨터 속에서 데이터가 잠시 머무는 운동장입니다. 우리가 프로그램을 열거나 인터넷을 사용할 , 메모리 위에서 데이터가 임시로 놀게 됩니다. 메모리 용량이 클수록 컴퓨터는 많은 작업을 동시에 빠르게 처리할 있습니다.

 

CPU (Central Processing Unit)

CPU 컴퓨터의 두뇌라고 불립니다. 사람이 머리로 생각하고 판단하듯, 컴퓨터는 CPU 통해 모든 데이터를 계산하고 명령을 처리합니다. 요즘 이야기되는 양자 컴퓨터는 CPU 기존의 0 1 다루던 방식에서 벗어나, 0 1 동시에 존재할 있다는 중첩개념을 이용해 빠르고 작은 처리 방식을 구현한 것입니다.

 

 

CRT (Cathode Ray Tube)

한때 주류였던 진공관 모니터입니다. 부피가 크고 무거웠지만, 과거에는 모든 컴퓨터가 CRT 모니터를 사용했죠. 지금은 거의 사라지고, 박물관에서나 있습니다

 

LCD (Liquid Crystal Display)

https://www.hp.com/sg-en/shop/tech-takes/post/differences-between-led-display-and-lcd-monitor

CRT 이후 등장한 액정 디스플레이입니다. 얇고 가벼우며, 전력 소모도 적습니다. 백라이트로는 **CCFL(냉음극 형광램프)** 사용해 화면을 밝히죠. 지금 대부분의 노트북, 모니터는 LCD입니다.

 

 

LED (Light Emitting Diode)

LCD 비슷하지만, 백라이트로 LED 조명을 사용합니다.

- LCD보다 얇고 전기도 먹습니다.

- 수명이 길고, 색상 표현력도 좋습니다.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백라이트가 필요 없습니다!

스스로 빛을 내는 픽셀로 구성되어 있어, 완벽한 검정 표현과 풍부한 색상을 보여줄 있습니다.

현재 가장 진보된 디스플레이 기술이며, 가격도 가장 비쌉니다.

 

현재 가장 비싼 OLED TV? 바로 Bang & Olufsen Beovision Harmony 97인치 OLED TV, 63,000달러(한화 8,500 )입니다!

 

 

디지털 시대를 살아가면서 저장 장치 없어서는 필수 요소입니다. 오늘은 대표적인 저장 장치의 종류와 변화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하드디스크 (HDD)

과거 대부분의 PC 기본 장착되었던 저장 장치입니다.

알루미늄, 유리, 세라믹 등으로 만든 플래터(platter) 위에 자성을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죠.

한때는 대세였지만, 지금은 개인용 컴퓨터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2. 플래시 디스크 (SSD)

우리가 흔히 말하는 'SSD(Solid State Drive)' 하드디스크보다 훨씬 빠른 속도와 안정성을 자랑합니다.

기계적인 회전 부품이 없기 때문에 속도도 빠르고 충격에도 강하죠.

 

요즘 나오는 노트북, 스마트폰, 태블릿 대부분의 기기에는 SSD 기본 탑재됩니다.

 

 

과거의 저장 장치들 (이젠 추억 속으로)

 

3. 테이프 드라이브

한때 대용량 백업용으로 사용되었으나,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4. 플로피 디스크

용량은 겨우 1.44MB, 지금은 박물관에서나 있겠네요.

 

 

5. CD (Compact Disc)

700MB 저장 용량으로 음악이나 소프트웨어 설치 등에 쓰였고,

'DVD (Digital Video Disc)' 4.7GB 정도로 많은 데이터를 담을 있었습니다.

 

 

저장 장치의 놀라운 발전

Image Source: www.ed-thelen.org

 

세계 최초의 하드디스크는 IBM RAMAC 305, 1956년에 5MB 가격은 무려 50,000~60,000 USD!

 

그런데 지금은? 1TB SSD 50달러도 되는 가격 구매 가능합니다. 무려 2천만 배나 저렴해진 셈이죠!

 

 

앞으로는?

 

클라우드 저장소의 발달로 인해, 일반 사용자에게는 별도의 저장 장치조차 필요 없는 시대가 다가오고 있습니다.

 

여러분은 어떤 저장 장치를 사용하고 계신가요?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 Recent posts